흙막이가시설

흙막이가시설: 엄지말뚝, 흙막이판 설계

MOAYO2016. 12. 15. 14:42

(1) 엄지말뚝 및 강널말뚝의 해석은 버팀보 위치를 탄성지점으로 하는 연속보로 계산하거나 탄소성법과 같은 수치해석을 적용할 수 있다.

(2) 말뚝의 근입 깊이는 굴착완료 후 또는 최하단 버팀보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수동토압에 의한 저항모멘트와 주동토압에 의한 활동모멘트 비, 히빙(heaving) 및 보일링(boiling)에 대한 안정성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3) 강널말뚝에 작용하는 주동토압과 수동토압 분포 폭은 강널말뚝 전 폭으로 하고, 말뚝하부의 고정조건에 따라 토압계산법을 달리 적용하여야 한다.

(4) 엄지말뚝에 작용하는 토압 분포 폭은 기술자의 판단에 따르되, 다음 표의 값을 따를수 있다.

(5) 흙막이벽 설치 시 부득이 물분사 공법(water jet)으로 타입하는 경우에는 벽체 하단 2m정도는 물분사 공법을 적용해서는 안 되므로 근입부의 차수 및 안정성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엄지말뚝에 작용하는 토압의 작용 폭-



(6) 엄지말뚝 배면 흙이 배수 등의 원인으로 침하할 우려가 있을 때는 부마찰력을 엄지말뚝의 축하중에 가산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7) 지반 앵커의 연직분력을 축방향력에 고려할 경우는 지반 앵커의 수평분력 및 버팀보 반력에 의한 마찰력을 허용지지력에 고려하여야 한다.

(8) 엄지말뚝에 의해 지지되는 흙막이판은 토압에 의한 등분포하중이 양쪽 말뚝의 지지위치를 지점으로 하는 단순보로 가정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9) 흙막이판은 휨과 전단에 대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10) 코너부에 사보강재를 이용할 경우에는 수평분력에 의한 축방향력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

04PLAN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VISITED

Today :

Total :

SNS

  • 페이스북아이콘
  • 카카오톡아이콘
  • 트위터아이콘

Lately Post

Lately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