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막이가시설
흙막이가시설: 용어MOAYO2016. 12. 22. 09:34
(1) 강널말뚝(steel sheet pile) - 흙막이 공사에서 토압에 저항하고, 동시에 차수 목적으로 서로 맞물림 효과가 있는 수직 타입의 강재 널말뚝
(2) 까치발 - 버팀보에 작용하는 하중을 띠장에 분산시킬 목적으로 버팀보 단부에 빗대어 사용하는 짧은 경사 버팀보
(3) 띠장(wale) - 흙막이 벽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설치하는 휨부재로서, 강재 널말뚝에 가해지는 토압을 버팀보에 전달하기 위해 벽면에 직접 수평으로 부착하는 부재
(4) 록볼트(rock bolt) - 굴착 암반의 안정화를 위해 암반 중에 정착하여 일체화 또는 보강목적의 볼트 모양의 부재
(5) 버팀보(strut or raker) - 흙막이 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을 굴착현장 내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 또는 경사로 설치하는 압축 부재
(6) 소단(berm) - 사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면 중간에 설치된 수평면
(7) CIP(Cast In Placed Pile) - 지반을 천공 후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현장타설말뚝으로 주열식 현장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함.
(8) 쏘일 네일(soil nail) - 중력식 옹벽개념의 흙막이 벽체 형성을 위해 지반에 삽입하고 그라우팅하여 지반을 지지하는 철근
(9) 쏘일 시멘트 벽체(soil cement wall) - 오거 형태의 굴착과 함께 원지반에 시멘트계 결합재를 혼합, 교반시키고 필요시에 H-형강 등의 응력분담재를 삽입하여 조성하는 주열식 현장 벽체
(10) 슬라임(slime) - 보링, 현장타설 말뚝, 지하연속벽 등에서 지반 굴착 시에 천공 바닥에 생기는 미세한 굴착 찌꺼기로서 강도와 침하에 매우 불리한 영향을 주는 물질
(11) 안내벽(guide wall) - 지하연속벽 시공 시 굴착작업에 앞서 굴착구 양측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가설벽으로서, 굴착입구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고 굴착기계와 철근망 근입의 정확한 위치 유도를 목적으로 설치
(12) 안정액(slurry) - 액성한계 이상의 수분을 함유한 흙을 대상으로 공벽을 굴착할 경우 공벽의 붕괴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현탁액으로 벤토나이트(bentonite)를 사용한다.
(13) 엄지말뚝(soldier pile) - 굴착 경계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는 강제 말뚝으로서 흙막이 판과 더불어 흙막이 벽을 이루며 배면의 토압 및 수압을 직접 지지하는 수직 휨부재
(14) 지반 앵커(ground anchor) - 선단부를 양질지반에 정착시키고, 이를 반력으로 하여 흙막이 벽 등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체로서 그라우팅으로 조성되는 앵커체, 인장부, 앵커머리로 구성된다. 어스 앵커(earth anchor)라고도 하며, 영구앵커와 가설(임시) 앵커로 구분
(15) 지하연속벽(diaphram wall) - 벤토나이트 안정액을 사용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철근망을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시공된 철근 콘크리트 연속벽체로 주로 영구벽체로 사용함.
(16) 흙막이 - 지반 굴착 시 인접지반의 변위 및 붕괴 등을 방지하기 위한 행위
(17) 흙막이 판 - 굴착 배면의 토압과 수압을 직접 지지해주는 휨 부재
'흙막이가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막이가시설: 공사보고서 (0) | 2016.12.22 |
---|---|
흙막이가시설: 공종별 시공계획서 (0) | 2016.12.22 |
흙막이가시설: 인접 구조물의 침하 및 안정평가 (0) | 2016.12.16 |
흙막이가시설: 지반 굴착에 따른 인접지반 침하량 (0) | 2016.12.16 |
흙막이가시설: 근입장 검토 (0) | 2016.12.16 |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