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면(사면)
비탈면의 계측계획수립MOAYO2017. 1. 13. 08:47
▶계측계획 수립
(1) 비탈면 계측은 비탈면 표면의 이동, 지층의 이동, 기상과 지하수위의 변화 등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설계시 예측한 거동이 적절했는지를 확인하여 구체적인 설계를 하거나, 기 설계된 내용을 보완하거나 향후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계획한다.
(2) 설계단계에서는 예상되는 비탈면 거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계측방법, 계측항목,계측위치, 계측수량, 계측빈도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사전에 수립하여야하며, 계측 중에 예상치 못한 거동이 관측된 경우에 계측범위, 계측위치 및 빈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계측계획은 설계자와계측기기의작동원리 및 적용성에 대한 지식을가진전문가와 협의하여 수립하여야 한다.
(4) 시공단계에서는 비탈면의 변형이나 붕괴형태를 사전에 예상하고 계측목적에 부합하는 계측기 선정이나 배치, 계측방법, 관리기준치 설정 등을 검토하여 계측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
▶계측기준
(1) 비탈면의 시공상의 안전과 품질 검증을 위하여 현장 계측을 수행 할 수 있으며 비탈면 거동을 잘 파악하기 위하여 지반조건, 주변환경, 계측기위치 등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충분한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2) 계측항목은 비탈면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직간접적인 인자를 계측하는데 필요한 항목으로서 파괴면의 형태, 범위 등 비탈면 거동을 가장 잘 파악하기 위한 종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계측기의 내구성, 배치 형태, 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 계측기의 배치는 비탈면의 붕괴 및 활동 특성, 지형적 위치, 계측기 설치 편의성, 계측기의 관리 편의성, 비용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비탈면의 변동 상황을 최소한의 계측기로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4) 계측기간과 빈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계측 값의 변화정도와 변화의 지속시간과 관련되며 비탈면의 파괴속도가 빠른 경우 또는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측정빈도를 높여 측정하여야 하고 변화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측정기간도 이에 맞춰 측정하여야 한다.
(5) 비탈면의 계측기 설치위치는 비탈면 자체 및 불연속면 등에 의해 이완된 암반의 거동을 충분히 고려하고 유사한 조건하에서 계측 예를 참고로 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비탈면(사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쌓기 비탈면 설계 고려사항 (0) | 2017.01.15 |
---|---|
앵커보강 비탈면의 안전율 기준 (0) | 2017.01.13 |
깎기비탈면의 발파기준 및 설계 (0) | 2017.01.13 |
깎기비탈면의 안전율 기준 (0) | 2017.01.13 |
토사원지반 깎기비탈면 표준경사 (0) | 2017.01.13 |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