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막이가시설
흙막이가시설: 띠장MOAYO2016. 12. 16. 11:24
① 띠장에 발생한 하중을 버팀보나 지반 앵커에 균등하게 전달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추어야 한다.
② 띠장은 단순보로 설계한다. 다만, 양호한 이음구조로 휨모멘트 및 전단력이 충분히 전달되는 경우에는 연속보로 계산할 수 있다.
③ 띠장의 지점간격은 순 간격을 적용하며, 까치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적용한다.
가. 까치발이 없거나, 각도가 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버팀보의 설치간격을 적용한다.
나. 각도가 45° 이내인 까치발을 설치한 경우에는 까치발에 의한 구속을 고려하여 적용한다.
④ 버팀보의 위치에서 띠장의 횡변위를 구하고 그 변위가 버팀보 축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야 한다.
⑤ 띠장의 처짐은 순 간격의 1/300 이하이어야 한다.
⑥ 버팀보 또는 지반 앵커와의 접합부는 보강재를 설치하여야 한다.
⑦ 지반 앵커에 연결되는 띠장은 앵커로 인한 연직분력을 고려하여야 하며, 미끄럼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⑧ 굴착면의 가로와 세로의 차가 매우 클 경우, 단변 띠장은 축력에 대한 검토를 추가하여야 한다.
⑨ 사보강재를 설치할 경우의 띠장 설계는 버팀보 반력에 의한 휨모멘트와 사보강재로부터 전달되는 축력을 동시에 받는 구조로 보고 안정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⑩ 흙막이 벽으로부터 등분포하중을 받는 띠장은 휨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한 안정 검토를 하며 단순보 또는 연속보로 간주하고 해석한다. 단순보로 설계할 경우에는 띠장과 스트러트의 연결은 핀으로 연결한 것으로 간주하여 설계하며, 여러 개의 버팀보 중에서 최대의 축력이 작용하는 버팀보를 적용한다.
'흙막이가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막이가시설: 지반 앵커 및 타이로드 설계 (0) | 2016.12.16 |
---|---|
흙막이가시설: 중간말뚝 (0) | 2016.12.16 |
흙막이가시설: 엄지말뚝 (0) | 2016.12.16 |
흙막이가시설: 까치발 (0) | 2016.12.16 |
흙막이가시설: 버팀보(Strut)의 설계 (0) | 2016.12.16 |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