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면(사면)
비탈면의 해석방법 및 안정해석 기준MOAYO2017. 1. 12. 17:01
해석방법
(1) 비탈면 안정성 해석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① 한계평형해석방법 (LEM, Limit Equilibrium Analysis Method)
② 유한요소해석법 (FEM,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③ 유한차분해석법 (FDM, Finite Difference Analysis Method) 등
(2)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변위 또는 지반내의 소성화 구간과 응력상태를 정밀하게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속체 해석을 수행한다.
안정해석 기준
(1) 쌓기비탈면의 안정해석은 토사비탈면에서 발생 가능한 파괴형태와 메커니즘에 적합한 해석방법과 지반정수를 선정하여 수행한다.
(2) 안정해석은 시공중 및 공용중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여야 하며, 공용중 해석은 교통하중 등 상재하중을 고려하여야 한다.
(3) 시공중 검토인 경우는 전응력 해석을, 공용중 검토인 경우는 유효응력해석을 수행하며 배수가 잘 안되는 흙에 대해서는 공용중이라도 전응력해석을 수행 할 수 있다.
(4) 안정해석시 원지반과 쌓기재의 침하를 구분하여 안정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탈면(사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깎기비탈면의 안전율 기준 (0) | 2017.01.13 |
---|---|
토사원지반 깎기비탈면 표준경사 (0) | 2017.01.13 |
쌓기비탈면의 안전율 기준 (0) | 2017.01.12 |
연약지반의 흙쌓기 및 안정해석시 고려사항 (0) | 2017.01.12 |
쌓기비탈면의 사면안정해석 조건 (0) | 2017.01.12 |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