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면(사면)

쌓기 비탈면의 붕괴특징

MOAYO2017. 1. 15. 21:59

일반적으로 쌓기비탈면의 붕괴 특징은 지하수 및 지표수에 의한 비탈면 표층의 유실 또는 깎기 쌓기 경계의 경우에는 간극수압의 상승으로 인한 비탈면 선단부에서 파괴가 있으며, 쌓기비탈면 시공시 다짐 불량, 쌓기 재료 불량 등으로 발생한다. 또한, 산지 도로에서 종단경사를 따라 유하하던 표면수가 도로 턱을 넘어 비탈면을 침식하여 일어나기도 한다.



(1) 기초지반을 포함하는 붕괴

쌓기비탈면에서 기초지반을 포함하는 붕괴형태는 기초지반이 연약한 경우(이탄, 충적점토 등) 쌓기로 인한 상재하중에 의해 기초지반이 파괴되어 쌓기비탈면이 붕괴하는 사례가 있다. 또, 자연 비탈면에 쌓기를 시행한 비탈면이 붕괴하는 경우가 있다.



(2) 비탈면내 붕괴

쌓기비탈면의 비탈면내 붕괴형태는 쌓기재료, 다짐도, 비탈면경사 등의 설계·시공의 잘못으로 발생하는 붕괴형태로, 일반적으로 비탈면 붕괴규모가 작은 특징을 보이며, 파괴면이 비탈끝을 지나며 중규모의 붕괴양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3) 기초지반 특성에 따른 붕괴

기초지반의 특성에 따른 붕괴유형은 비탈면이 형성된 기초지반의 특성에 따라 붕괴형태와 그 규모가 다르게 나타난다. 불투수성의 견고한 기초지반위에 만들어진 쌓기비탈면은 불투수성의 견고한 지반과 쌓기비탈면과의 경계면에서 지하수 침투 등에 의해 쌓기 지반이 연약화 되어 붕괴되는 특성을 보이며, 활동성 지반에 쌓기하여 만들어진 비탈면의 경우는 소규모의 유실 등이 가속화 되어 대규모 비탈면 붕괴로 발달할 수 있다.



(4) 지하수 침투에 의한 붕괴

하천과 같은 모래, 자갈 등의 투수층에 접하여 쌓기를 하는 경우는 침투수에 의해 제체 내수위가 상승하고 쌓기부의 비탈끝 부분의 붕괴를 유발한다. 이러한 붕괴는 비탈면 전역에 걸쳐 발생하지 않고 소규모 붕괴로 시작하여 발견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비탈면 조사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비탈면(사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반 비탈면 안정해석  (0) 2017.01.16
비탈면 붕괴유형  (0) 2017.01.15
쌓기 비탈면 설계 고려사항  (0) 2017.01.15
앵커보강 비탈면의 안전율 기준  (0) 2017.01.13
비탈면의 계측계획수립  (0) 2017.01.13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

04PLAN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VISITED

Today :

Total :

SNS

  • 페이스북아이콘
  • 카카오톡아이콘
  • 트위터아이콘

Lately Post

Lately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