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벽구조물

보강토 옹벽

MOAYO2017. 1. 16. 10:32

보강토 옹벽은 뒤채움 흙내에 보강재를 포설하여 수직에 가까운 벽면을 구축하는 흙쌓기구조물이다.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 옹벽과 같은 규모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흙쌓기재의 포설 및 다짐, 보강재의 포설, 벽면재의 조립 등의 과정을 반복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특수한 시공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시공이 용이하며 공기가 짧다. 또한, 보강토 옹벽은 자체중량과 강성에 의해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인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소형 벽면재와 보강재의 연결 및 보강재와 흙 사이의 마찰에 의해 저항하는 구조이므로 기초지반에 다소의 부등침하가 발생하여도 벽면재와 보강재의 기능 손상없이 대처할 수 있다.


도로 구조물로서 보강토 옹벽은 기존의 콘크리트 옹벽과 마찬가지 용도로서 적용된다. 보강토 옹벽의 특징은 도시부와 산지부처럼 도로용지에 제약이 있는 장소에서 수직에 가까운 벽면을 가진 흙쌓기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과 유연한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의 옹벽에서는 말뚝기초형식을 필요로 한 비교적 연약한 기초지반에서도 기술적인 검토에 근거하여 직접기초 형식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 있다.


보강토 옹벽은 사질토인 뒤채움 흙에 인장력이 크고 마찰력이 좋은 보강재를 수평으로 삽입하여 흙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토체의 안정을 기하도록 한 것으로 보강재, 뒤채움용 사질토, 전면판 또는 전면 보호재로 구성된다.



- 보강토 옹벽의 구성 -



-보강토 옹벽의 일반적인 설계순서-

'옹벽구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옹벽의 말뚝기초  (0) 2017.01.17
옹벽의 직접기초  (0) 2017.01.17
확대기초의 지지력 경험치  (0) 2017.01.17
옹벽의 설계하중  (0) 2017.01.17
석축공사  (0) 2016.12.09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

04PLAN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VISITED

Today :

Total :

SNS

  • 페이스북아이콘
  • 카카오톡아이콘
  • 트위터아이콘

Lately Post

Lately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