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면(사면)

평사투영 해석법

MOAYO2017. 1. 16. 15:53

평사투영해석은 절리, 단층, 층리 등 암반 비탈면에 분포하는 3차원적 지질구조와 비탈면의 방향 및 경사각 등을 평사투영도상에 2차원적으로 도시하고 파괴면의 전단강도를 고려하여 비탈면의 안정성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평사투영해석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지표지질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절리특성이 서로 비슷한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평사투영해석을 실시한다. 이것은 한 비탈면이라 하더라도 비탈면의 길이가 긴 경우 불연속면이 국부적으로 분포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평사투영법은 단지 파괴의 가능성만을 정성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이며, 파괴 가능지역은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안정해석을 수행한다.



(3) 평사투영 결과, 평면파괴나 쐐기파괴의 가능성이 있더라도 최종판단은 불연속면의 연장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즉, 평면파괴의 가능성을 보이는 불연속면의 경우 연장성이 짧으면 이를 무시할 수 있다.



(4) 불연속면에 대한 마찰각 산정을 위한 직접전단시험시 주의할 사항은 같은 불연속면이라도 방향에 따라 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실제로 암괴가 활동하는 방향으로 시험을 실시한다. 불연속면의 전단각은 수직하중에 따라서 다르므로 실제의 상재하중 범위에서 전단각을 측정한다. 불연속면 틈사이에 충전물이 끼어 있는 경우, 이를 고려하여 마찰각을 결정한다.

'비탈면(사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탈면의 안정해석방법별 가정 및 적용  (0) 2017.01.19
비탈면 붕괴의 원인  (0) 2017.01.16
암반 비탈면 안정해석  (0) 2017.01.16
비탈면 붕괴유형  (0) 2017.01.15
쌓기 비탈면의 붕괴특징  (0) 2017.01.15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

04PLAN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VISITED

Today :

Total :

SNS

  • 페이스북아이콘
  • 카카오톡아이콘
  • 트위터아이콘

Lately Post

Lately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