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공사
교량공사용 거푸집 및 동바리: FSM(Full Staging Method)MOAYO2016. 12. 27. 10:18
▶ 거푸집
(1) 거푸집은 반복사용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과 정밀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2) 거푸집은 교량의 평면선형 및 종단선형에 맞추어 정밀하게 제작하여야 하며, 설치 및 해체 시 콘크리트 구조체에 변형 및 손상이 없도록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한다.
(3) 내부 거푸집은 바닥 슬래브의 높이조정, 정착구 설치 등의 처리에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타설 순서에 따른 거푸집 설치 순서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4)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솟음과 변형을 감안하여 제작되어야 하고 시공자는 단면 및 솟음의 변화를 확인하여야 한다.
▶ 동바리
(1) 동바리 기초는 지반이 양호하더라도 지반과 기초의 접촉부 시공이 불량할 경우 침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특별히 시공에 유의하여야 한다.
(2) 동바리 기초 주변에 측구 등을 설치하여 장마철 등의 배수에 유의하여야 한다.
(3) 가새 등으로 수평력을 지지할 경우에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한 별도의 기둥 또는 지반에 수평력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한다.
(4) 동바리 해체 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이 장 3-1의 3.9에 따른다.
(5) 하천 내 도로근접부의 동바리는 유수의 저항 및 차량의 충돌 등의 현장조건에 대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6) 콘크리트 타설은 구조물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는 순서대로 실시하고, 동바리에 편심 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처짐관리
(1) 시공자는 처짐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측정값을 현장에서 실측하여 설계 계산값과 비교 평가를 한 후 검토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2) 일반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처짐관리 요소는 다음과 같다.
① 지반의 침하
② 동바리 부재의 좌굴 및 탄성변형
③ 동바리 철거 후 교량 상부구조물의 변형
④ 콘크리트 크리프 등의 소성변형
(3) 처짐은 종방향 처짐과 횡방향 단면의 캔틸레버부 처짐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 타설 중 처짐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허용 처짐을 초과한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타설을 중지하고 적절한 안전대책을 수립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가설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량공사용 거푸집 및 동바리: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0) | 2016.12.28 |
---|---|
교량공사용 거푸집 및 동바리: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 (0) | 2016.12.27 |
거푸집 및 동바리: 테이블 폼의 시공 (0) | 2016.12.23 |
거푸집 및 동바리: 갱 폼의 시공 (0) | 2016.12.23 |
거푸집 및 동바리: 슬립 폼의 시공 (0) | 2016.12.23 |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