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교량 받침부 설계 지침(안) 2011.03

MOAYO2018. 2. 12. 14:55

교량 받침부는 상부구조를 지지하면서 보강 철근이 많이 배치되면서도 그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보강철근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받침부를 설계 및 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코자 함

- 교량 받침은 시공 및 유지관리시 손상이 가장 빈번한 부재의 하나로서 현재 복잡한 철근 배치로 인하여 품질관리에 많은 애로가 있음

- 최근 내진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교좌부의 내진저항 메카니즘은 교량 전체의 안전과 직결될 수 있음


□ 현실태 또는 문제점

- 도로교 설계 기준에는 받침에 대한 설계 상세가 제시되어 있지 않음

- 받침부 철근 배치는 우리 공사의 설계 기준에 따라 시행하고 있으나, 하중이나 철근 배치에 대한 이론정립이나 실험 등이 수반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로 인하여 소요 철근량이 매우 보수적으로 적용되고 있음

  (설이 16210-220, ‘94.12.29)

- 받침부의 철근 배치는 받침의 앵커볼트의 저항 메카니즘을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하지만 관련 상세가 제시되어 있지 못함

- 기 시공된 교량의 받침부에서 다양한 손상이 발생되고 있음

 ☞ 손상유형 

  ․앵커볼트 파단

․무수축모르타르 파손

․받침콘크리트 손상

 ☞ 손상 원인

․앵커볼트 단면 부족

․무수축모르타르의 부적절한 시공

․부적절한 보강 철근 배치


 ☞ 받침부 손상 사례

․기존의 설계 개념에서 고려하지 못한 파괴 형상으로 손상이 발생됨


교량받침부 설계지침.zip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

04PLAN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VISITED

Today :

Total :

SNS

  • 페이스북아이콘
  • 카카오톡아이콘
  • 트위터아이콘

Lately Post

Lately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