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공사

거푸집 및 동바리: 용어

MOAYO2016. 12. 20. 13:54

(1) 간격재 - 거푸집 간격유지와 철근 또는 긴장재나 쉬스가 소정의 위치와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제,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 부품

(2) 갱 폼(gang form) - 평면상 상·하부 동일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벽체 거푸집과 작업발판용 케이지(cage)를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대형 거푸집

(3) 거푸집 - 타설된 콘크리트가 설계된 형상과 치수를 유지하며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에 도달하기까지 양생 및 지지하는 구조물

(4) 거푸집 긴결재(form tie) - 기둥이나 벽체 거푸집과 같이 마주보는 거푸집에서 거푸집널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주는 동시에 콘크리트 측압을 최종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인장부재로 매립형과 관통형으로 구분

(5) 거푸집 널 - 거푸집의 일부로써 콘크리트에 직접 접하는 목재나 금속 등의 판류

(6) 동바리 -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기까지 고정하중 및 시공하중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부재

(7) 멍에 - 장선과 직각방향으로 설치하여 장선을 지지하며 거푸집 긴결재나 동바리로 하중을 전달하는 부재

(8) 모인 옹이 지름비 - 부재의 길이 중 15㎝ 이내에 집중되어 있는 각 옹이 지름의 합계를 부재폭에 대하여 나눈 백분율

(9) 매스 콘크리트(mass concrete) - 부재 혹은 구조물의 치수가 커서 시멘트 수화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고려하여 설계․시공하여야 하는 콘크리트

(10) 박리제(form oil) - 콘크리트표면에서 거푸집 널을 떼어내기 쉽게 하기 위하여 미리 거푸집 널에 도포하는 물질

(11) 솟음(camber) - 보나 트러스 등에서 그의 정상적 위치 또는 형상으로부터 상향으로 치켜 올리는 것 또는 치켜 올린 크기

(12) 수중 콘크리트(underwater concrete) - 담수 중이나 안정액 중 혹은 해수 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13) 시스템 동바리(prefabricated shoring system) - 수직재, 수평재, 가새 등 각각의 부재를 공장에서 미리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주 형식의 동바리와 강제 갑판 및 철재트러스 조립보 등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설치하여 지지하는 보 형식의 동바리를 지칭함.

(14) 슬립 폼(slip form) - 수직으로 연속되는 구조물을 시공조인트 없이 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져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에 적용하는 거푸집

(15) 요크(yoke) - 수직 슬립 폼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측압을 지탱해 주며, 거푸집 하중, 시공하중 등을 잭(jack)에 전달하는 부재

(16) 요크빔(yoke beam) - 요크에 걸린 하중이 잭(jack)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요크와 요크를 연결해 주는 보

(17) U헤드 - 멍에에 가해진 하중을 동바리로 전달하기 위하여 동바리 상부에 정착하여 사용하는 U 형태의 연결 지지재

(18) 옹이 지름비 - 옹이가 있는 재면에서 부재의 나비에 대한 옹이 지름의 백분율

(19) 장선 - 거푸집 널을 지지하여 멍에로 하중을 전달하는 부재

(20) 잭로드(jack rod) - 요크빔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기 타설된 하부의 콘크리트로 전달하는 수직부재로, 잭이 이동하는 레일과 같은 역할을 하는 슬립 폼의 부속품

(21) 클라이밍 폼(climbing form) - 이동식 거푸집의 일종으로써, 인양방식에 따라 외부 크레인의 도움없이 자체에 부착된 유압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상승하는 자동상승 클라이밍 폼(self climbing form)방식과 크레인에 의해 인양되는 방식으로 구분

(22) 테이블 폼(flying table form) - 바닥 슬래브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써 거푸집 널, 장선, 멍에, 서포트를 일체로 제작 부재화하여 크레인으로 수평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한 거푸집

(23) 폼라이너(formliner) - 콘크리트 표면에 문양을 넣기 위하여 거푸집 널에 별도로 부착하는 부재

(24) 폼행거(form hanger) - 콘크리트 상판을 받치는 보 형식의 동바리재를 영구 구조물의 보 등에 매다는 형식으로 사용하는 부속품

(25) 포스트텐셔닝(post tensioning) - 콘크리트의 경화 후 사전에 매설한 쉬스관을 통하여 PS 강재(강선)에 인장력을 주는 것

(2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 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그 응력의 분포와 크기를 정하여 콘크리트 타설 전 강선을 사용하여 미리 내력을 준 콘크리트를 말하며, PS 콘크리트 또는 PSC라고 약칭하기도 함

(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대립하는 것으로, 제작공장 또는 제작장에서 생산된 일정한 형태의 콘크리트 부재를 말하며 PC 콘크리트라고 약칭하기도 함

(28) 프리팩트 콘크리트(prepacked concrete) - 미리 거푸집 속에 특정한 입도를 가지는 굵은 골재를 채워 넣고 그 간극에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만든 콘크리트

(29) 현수식 거푸집 - 건축물의 지하층 역타시공 시 거푸집 지지틀을 와이어로 지지하고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현수장치로 하강시켜 주로 무지보 공법에서 사용하는 거푸

(30)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 교량 후방에 설치된 주형 제작장에서 교량 상부구조물을 한 세그먼트씩 제작하여 기 제작된 세그먼트와 일체화시킨 후 압출장치에 의해 교축방향으로 밀어내는 공법

(31) FCM(Free Cantilever Method) - 교각에 주두부를 타설한 뒤 작업차(form traveller)등의 특수한 가설장비를 이용하여 주두부의 좌우로 한 세그먼트씩 현장에서 타설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공법

(32)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 - 거푸집이 부착된 특수한 이동식 지지보 및 이동보를 사용하여 한 경간씩 현장에서 타설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공법

(33) FSM(Full Staging Method) - 교각의 높이가 비교적 낮고 현장이 평탄한 지역에서 교량 상부구조물의 거푸집을 지면에서부터 동바리로 지지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공법

(34) PSM(Precast Segmental Method) - 일정 길이로 분할된 세그먼트를 별도의 제작장에서 제작·운반하여 인양장비를 이용, 가설한 후 각 세그먼트를 접합 및 포스트텐셔닝하여 연결함으로서 교량 상부구조를 가설하는 공법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

04PLAN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VISITED

Today :

Total :

SNS

  • 페이스북아이콘
  • 카카오톡아이콘
  • 트위터아이콘

Lately Post

Lately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