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면(사면)
비탈면의 기본계획MOAYO2017. 1. 12. 10:23
(1) 비탈면 계획은 도로, 철도 및 택지 등과 같은 시설의 건설계획에 부합되게 수립하여야 하며, 기본계획, 기본설계, 실시설계, 시공, 준공 및 유지관리 단계로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추진한다.
(2) 비탈면의 기본계획에서는 다음 사항을 고려한다.
① 주구조물의 계획에 따른 쌓기 또는 깎기비탈면의 형성조건
② 안정성 검토 및 터널 등 대체구조물의 적용성 여부
③ 비탈면 건설 후 수리, 수문,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
④ 주구조물에 발생 가능한 재해영향
⑤ 사업대상지역 내에 있는 분묘, 가옥, 문화재 및 각종 시설물의 이전방안
⑥ 시공 중 수질오염, 진동, 분진, 소음 등의 가능성과 대책방안
⑦ 경제성 및 공사소요기간
⑧ 법적 규제사항 등
(3) 기본계획 수립은 해당분야 전문가의 자문과 발주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조정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지역주민 및 지방자치단체의 민원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해소방안을 검토하여야 한다.
(4) 비탈면의 형성은 사업 대상지역 경계에서 장기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는 비탈면의 높이와 경사를 결정하는 것이며, 현지의 지형과 지반조건, 시공여건, 장애물 등의 여부에 따라 보강공법, 옹벽공법, 표면보호, 녹화공법 및 안전시설의 적용 여부도
함께 고려하여 경제성과 소요기간을 검토하여야 한다.
(5) 비탈면 설계에서는 일반적인 표준시방서 외에도 각각의 공법에 대한 적용사례 검토를 통해 정확한 시공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시공을 위한 공사시방서를 세밀하게 작성하여 안전한 비탈면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비탈면(사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쌓기비탈면의 사면안정해석 조건 (0) | 2017.01.12 |
---|---|
쌓기비탈면의 표준경사 및 소단기준 (0) | 2017.01.12 |
비탈면 시공 중 조사 (0) | 2017.01.12 |
비탈면 설계시 시추조사 최소 적용기준 (0) | 2017.01.12 |
사면안정해석시 설계하중의 적용기준 (0) | 2017.01.12 |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