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구조물
연약지반상의 암거MOAYO2017. 1. 17. 15:00
(1) 연약지반에 시공되는 암거에 침하가 발생할 경우 도로시설한계 부족, 수로통수단면 부족 등 기능상 각종 지장을 받게 되
므로 침하방지 및 관리대책을 수립한다.
(2) 시공 후 공용 중에도 침하가 장기간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며, 노면 덧씌우기만으로 대처할 수 없을 때에는 암거의 내공 높이에 여유를 두어 침하량 만큼 암거 바닥을 올리고, 노면을 덧씌우기 해 암거의 기능을 유지한다.
(3) 연약지반위에 시공되는 암거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아 인접지반의 경우보다 추가하중(Δp)이 오히려 부(負)가 되는 경우가 있어 침하가 주변지반에 비해 덜 발생할 수도 있고, 종방향으로 단차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접속슬래브 등을 설치하여 단차를 억제하여야 한다.이러한 경우는 교대부의 접속슬래브(approach slab)를 설치하거나 현장타설시 선 타설 콘크리트와 후 타설 콘크리트의 침하가 예상되는 구간에 부등침하 방지공을 설치한다. 다음 그림과 같이 전단키등을 사용하여 단차를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별도로 수립한다.
'토목구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원)형 암거의 매설 상태 (0) | 2017.01.18 |
---|---|
관형 암거의 외압강도 (0) | 2017.01.18 |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관의 분류 (0) | 2017.01.18 |
암거의 배근일반 (0) | 2017.01.18 |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해설(2007)에 따른 하중조합 예 (0) | 2017.01.18 |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