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벽구조물

옹벽의 설계하중

MOAYO2017. 1. 17. 09:38

옹벽에 고려되는 하중은 자중, 상재하중, 토압, 지진하중, 수압 및 양압력이 있으며 그 외에 설하중, 풍하중, 충돌하중 등이 있다.이 중 주로 설계에 이용하는 하중은 자중+상재하중(활하중)+토압의 조합으로 한다. 설계에 이용하는 하중은 설계조건과 구조형식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고 반드시 전부 채용할 필요는 없다.단면설계시 하중계수의 적용은[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해설, 한국콘크리트학회, 2007]에 따른다.



▶자중 (고정하중)

자중은 옹벽 구체 중량 외에 역T형, L형 옹벽 등의 뒤굽판 위에 있는 흙의 중량을 포함한다. 또한, 역T형 옹벽의 앞굽판 상부 흙은 보통

의 경우 이를 무시해도 좋지만, 근입깊이가 큰경우와 역L형 옹벽은 그 영향을 고려한다.

자중은 다음 그림에서 빗금친 부분을 고려한다. 자중의 계산에 쓰이는 재료의 단위체적중량은 다음과 같다.

-옹벽 종류별 자중 선택 범위(연직 가상 활동면)-



(1) 철근 콘크리트 및 무근 콘크리트의 단위체적중량은 다음과 같이 한다.

∙ 철근 콘크리트 : 24.5kN/㎥

∙ 무근 콘크리트 : 23.0kN/㎥


(2) 흙의 단위체적중량은 토질시험결과를 적용하지만, 토질시험이 어려운 경우 다음 표의 값을 참조한다.




상재하중(활하중)

옹벽 배면 지반은 시공중 장비이동 및 시공 완료후 자재의 야적, 차량의 이동 등과 같은 임시 또는 일시적인 하중을 고려하기 위하여 상재하중(q)은 10kN/㎡, 공용중 중차량(DB-24) 등에 의한 상재하중(q)은 13kN/㎡로 하고, 이에 의한 옹벽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은 그림과 같이 활하중에 상당하는 만큼 흙쌓기가 높아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상재하중에 의한 환산 높이를 구하는 방법-

'옹벽구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옹벽의 말뚝기초  (0) 2017.01.17
옹벽의 직접기초  (0) 2017.01.17
확대기초의 지지력 경험치  (0) 2017.01.17
보강토 옹벽  (0) 2017.01.16
석축공사  (0) 2016.12.09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댓글

04PLAN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VISITED

Today :

Total :

SNS

  • 페이스북아이콘
  • 카카오톡아이콘
  • 트위터아이콘

Lately Post

Lately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