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벽구조물
보강토옹벽의 설계하중MOAYO2017. 1. 17. 10:01
보강토 옹벽의 설계시에는 시공위치에서의 기상조건 및 환경조건, 사용목적, 시공조건, 구조물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하중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설계에 사용하는 하중으로는 자중, 상재하중 및 토압 등이 주로 고려되며, 현장여건에 따라 양압력, 수압, 풍하중, 지진하중 등이 고려된다.
① 자중
보강토 옹벽의 구조는 보강재가 포설된 보강토체와 전면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전면벽의 중량은 보강토 옹벽 전체의 중량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작으므로 자중은 보강토체만의 중량으로 하여도 좋다.
② 상재하중
상재하중으로는 차량에 의한 활하중과 상부 흙쌓기 하중 및 상부구조물에 의한 하중 등이 고려된다. 보강토체 상부에 도로를 축조하는 경우에는 공용하중으로서 보통 13kN/㎡의 값을 고려하면 좋다. 대형 건설장비의 통행이 계획되어 있는 공사용 도로 등에 적용된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 대한 활하중, WL은 다음 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보강토 옹벽이 다른 구조물의 기초로 되는 경우에는 상부구조물의 유효 하중면적에 작용하는 지반반력을 상재하중으로 고려한다.
③ 토압
설계시 외적안정의 검토에서는 보강토체 배면으로부터 작용하는 토압을 고려하고, 내적안정의 검토에서는 보강토체 내에서 작용하는 토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④ 지진하중
지진의 영향을 검토하는 경우에는 지진시 토압과 관성력을 고려한다.
⑤ 기타 하중
현장여건에 따라 풍하중, 설하중, 충격하중등이 고려될 수 있으며, 수압의 영향이 염려되는 경우에는 보강토체 내에 배수층을 설치하고 현지조사를 충분히 하여 적절한 수압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보강토 교대의 설계시에는 교대 상부공의 수평반력 등 교대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고려한다.
'옹벽구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공사 보강토옹벽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잠정지침(2013, 국토해양부) (0) | 2017.03.17 |
---|---|
옹벽 철근의 이음 및 정착 (0) | 2017.01.17 |
보강토옹벽의 전면벽 (0) | 2017.01.17 |
옹벽의 말뚝기초 (0) | 2017.01.17 |
옹벽의 직접기초 (0) | 2017.01.17 |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